1. 귀 교의 무궁한 발전을 기원합니다.
2. 백두대간 권역 산림 미생물 유전자원 수집을 위한 공동연구 계획을 붙임과 같이 송부하오니 귀교의 연구자가 참여할 수 있도록 협조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가. 연구과제명: 백두대간 권역 산림 미생물 유전자원 수집
나. 연구기간: 2015. 6. ~ 12.
다. 참여자
성 명
소속기관
직위
연구참여 역활
비고
곽연식
경상대
부교수
미생물 분리동정 및 DB
이증주
경상대
교수
산림토양수집, 미생물 분리
박영옥
경상대
주무관
산림토양수집
붙임 백두대간 권역 산림 미생물 유전자원 수집 계획 1부. 끝.
백두대간 권역 산림 미생물 수집에 의한 산림부분 미생물 유전자원 보존·관리체계 구축 |
1. 목적 및 필요성
백두대간권역은 다양한 산림유전자원을 포함하고 있는 유전자원의 보고
환경부, 산림청을 중심으로 다년간의 수목조사 및 버섯류 연구는 성공적으로 수행되었으나, 산림 미생물에 관한 연구는 미비
백두대간 권역 산림 미생물 유전자원 수집 계획 |
식물생장과 밀접한 관계가 있는 산림미생물 규명을 통한 멸종위기야생식물 및 깃대종 등 식물복원사업의 기초자료로 활용
산림 미생물 유전자원 확보와 자원화를 위한 국가 단위 관리체계 구축 기반 마련
2. 주요 연구내용
연구목표
국립공원 권역별 산림미생물 자원의 분리 및 수집 가능성 검정
확보된 미생물의 동정 및 DB화를 실현하기 위한 예비 자료 확보
연구방법
산림미생물 확보를 위한 토양시료 수집
∙ 대상지: 백두대간 권역 내 국립공원 7개소(국립공원 지정 예정지 포함)
∙ 토양시료: 각 채집지별 10g 토양
산림 미생물의 분리 확보: 총 500점 이상 확보
산림 미생물의 동정: 분리된 미생물을 분자/생화학적 방법으로 동정
3. 세부 추진계획
연구추진 체계
종복원기술원, 경상대학교에서 각 기관별 역할을 분담하여 수행하고 연구의 전체 총괄은 종복원기술원에서 추진
산림토양의 확보: 종복원기술원, 경상대학교
미생물 배양‧분석: 경상대학교
연구진 구성
성 명 | 소속기관 | 직위 | 구분 | 연구참여 역활 | 비고 |
박은희 | 종복원기술원 | 센터장 | 4급 | 연구총괄 |
|
신동진 | 종복원기술원 | 팀장 | 6급 | 산림토양수집 |
|
곽연식 | 경상대 | 부교수 | 연구원 | 미생물 분리동정 및 DB |
|
이증주 | 경상대 | 교수 | 연구원 | 산림토양수집, 미생물 분리 |
|
박영옥 | 경상대 | 주무관 | 연구원 | 산림토양수집 |
|
산림미생물 확보를 위한 토양시료 수집
산림 토양 수집지: 설악산권, 태백산권 등 총 7개 권역
※ 붙임참조(세부 조사경로)
시료 채집시기: 2005. 6. 20. ~ 12. 30.
산림 미생물의 분리 확보
각 지점별 시료별 토양 1g을 희석평판도말법을 사용 배지 내 치상
각 배지에서 생육된 미생물을 96-well plate에서 순수 배양
순수 배양된 미생물에 글리세롤을 첨가하여 장기보관용으로 제작
산림 미생물 동정
단일 콜로니로 순수배양된 미생물을 70% Formic acid와 100% Acetonitrile을 이용하여 전처리
전처리된 미생물을 Matrix soultion과 희석하여 MALDI plate에 loading
MALDI-TOF MS/MS를 이용하여 미생물 분류
연구추진일정
구분 연구내용 | 월별 추진일정 | 비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
백두대간 권역 산림 토양 확보 |
|
|
|
|
|
|
|
|
|
|
|
|
|
|
|
|
|
|
|
|
|
|
|
|
| ||
산림미생물 분리 |
|
|
|
|
|
|
|
|
|
|
|
|
|
|
|
|
|
|
|
|
|
|
|
|
| ||
동정 및 DB화 |
|
|
|
|
|
|
|
|
|
|
|
|
|
|
|
|
|
|
|
|
|
|
|
|
|
4. 기대효과
미개척 연구분야 개척을 통한 산림 미생물 관리체계 구축 기반 마련
공원 내 생물다양성 제고와 신약개발 등 생명자원 산업화에 활용
산림 미생물을 활용한 식물에 유해한 산림병해충(생물학적) 방제에 활용
붙임 세부 조사경로
세부 조사경로
구분 | 조사구간 | 조사거리 (㎞) | 조사기간 (일) | 비고 |
설악산권 | 진부령-마산-신선봉-미시령 미시령-저항령-마등령 마등령-대청-골청-한계령 한계령-망대암산-점봉산-단목령 단목령-북암령-쇠나드리 쇠나드리-갈전곡봉-구룡령 구룡령-약수산-응복산-만월봉-신배령-두로봉 두로봉-동대산-진고개 | 23.4 7.8 11.7 13.5 13.1 17.5 14 8.1 | 10 |
|
오대산권 | 진고개-노인봉-소활병산-매봉 매봉-곤신봉-선자령-대관령 대관령-능경목-고루포기산-닭목재 닭목재-화란봉-석두봉-삽당령 삽당령-두리봉-석병산-생계령 생계령-자병산-987.2고지 | 11.5 11.3 12.1 12.9 12.2 11.5 | 7 |
|
태백산권 | 987.2고지-상월산-이기령-고적대 고적대-청옥산-두타산-댓재 댓재-큰재-덕항산-구부시령 구부시령-한의령-매봉산-1233.1고지 1233.1고지-싸리재-함백산-화방재 화방재-태백산-장바위 장바위-고치령-구룡산-도래기재 도래지재-옥돌봉-박달령 | 11.5 13 11.1 17.1 14.5 10.1 14.4 6.1 | 7 |
|
소백산권 | 박달령-선달산-늦은목이-마구령 마구령-미내리-고치령-마당치-1271고지 1271고지-상월산-국망봉-비로봉-제1연화봉-제2연화봉-죽령 죽령-도솔봉-묘적령-뱀재-싸리재-배재-저수재 저수재-벌재-황장산-대미산 대미산-포암산-하늘재 하늘재-부봉-미역봉-조령산-이화령 | 11.4 14.7 15 20.1 15.6 13.5 16.3 | 8 |
|
속리산권 | 이화령-조봉-황학산-백화산-981고지 981고지-이만종-희양산-구왕봉-은치재-장성봉 장성봉-분란치재-대야산-고모치 고모치-조황산-갓바위재-청화산-눌재 눌재-문장대-천황봉-형제봉-828고지 828고지-봉황산 봉황산-화령재-신의터고개-지기재 지기재-백화산-큰재 | 9.8 11.8 13.5 7.5 14.8 7.1 17.9 17.9 | 8 |
|
덕유산권 | 큰재-국수봉-갈현고개-사기점-당마루 당마루-눌의산-가성산-여시골산-황악산-바람재 바람재-질매재-삼도봉 삼도봉-쑥병이 쑥병이-덕산재-대덕산-삼봉산-신풍령 신풍령-백암봉-동엽령-두룡산-삿갈골재 삿갈골재-삿갓봉-남덕유산-육십령 육십령-깃대봉-백운산-중고개재 | 17.5 15.8 15.8 8.1 16.6 19.5 11.1 15.4 | 5 |
|
지리산권 | 중고개재-월경산-광대치-봉화산-꼬부랑재 꼬부랑재-복성이뒤재-시리봉-새맥이재-매요마을 매요마을-상사바위-여원재-입망치 입망치-수정봉-정령치-만복대 만복대-고리봉-노고단-토끼봉 토끼봉-형제봉-벽소령-선비샘-세석 세석-촛대봉-장터목-천왕봉 | 11.8 11.6 11.5 13.5 12.8 11.5 4.4 | 6 |
|
'백두대간 남진 시료채취'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당분간 집 비웁니다 (0) | 2015.06.30 |
---|---|
최종 점검(빼빼재~부전계곡) (0) | 2015.06.29 |
백두대간 미생물 시료채취단 준비물품 (0) | 2015.06.23 |
백두대간 미생물 시료채취 일정 변경 (0) | 2015.06.22 |
시료채취 구간별 야영 및 지원계획 (0) | 2015.06.10 |